건강정보

역류성 식도염 증상 4가지

ice_wolf 2019. 3. 7. 22:28

 역류성 식도염이 무엇인지 알기에 앞서 식도부터 알아야 합니다. 식도는 입에서 위장으로 음식물을 보내는 터널과 같은 곳으로서 식도에서 위장으로 넘어가는 부분에 음식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하부식도괄약근이라는 곳이 있습니다. 이곳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음식물이나 위산이 역류하며 나타나는 것이 역류성 식도염 증상입니다.

 

 

 역류성 식도염 증상은 위(gastric)에 있는 내용물이 위산과 함께 거꾸로 식도를 타고 올라오는 것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지 못한다면 궤양으로 변하고 식도의 협착까지 이어질 수 있는 질환이기 때문에 생활습관의 개선과 검사가 필요한 것이 역류성 식도염입니다.

 

 

 

 

 역류성 식도염 증상. 가슴 통증, 구역질, 구토, 상복부 통증, 연하장애, 목 쓰림 등이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1. 가슴, 상복부 통증. 가슴 아래쪽 위치에서 불에 타는 것과 같은 쓰림과 아픔이 생기는 것으로, 심할 때는 상복부 전체까지 통증이 퍼지는 증상입니다.

 

 

 2. 구역질, 구토. 역류성 식도염 증상 중에 가장 많이 나타나는 증상으로 식도에서 위장으로 내려가는 것을 거꾸로 역류하지 못하게 막는 하부식도괄약근이 약해지거나 느슨해져서 위산이나 음식물이 역류하는 것으로 심할 때는 음식물이 넘어오는 구토 증상까지 나타납니다.

 

 

 3. 연하 장애. 심해지면 나타나는 식도염 증상으로 음식물이 식도를 통과하기 어려워지고 삼키는 것이 힘들어지는 증상입니다.

 

 

 

 

 4. 목 쓰림. 위산이 역류하기 때문에 식도가 자극을 받아 아픔이 느껴지는 것으로 거북함과 함께 신트림도 같이 올라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음식물 섭취후 바로 수면을 취하거나, 탄산, 기름진 음식의 섭취, 흡연, 음주 등의 잘못된 생활습관이 원인이 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위와 같은 생활습관을 개선함으로서 역류성 식도염 증상이 좋아지는 것을 느낄 수 있지만, 증상에 따라 약물치료가 필요할 때가있습니다. 이때는 보통의 경우 위산분비 억제제를 사용하여 치료에 임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질환이 생긴 초기에 생활습관을 개선하여 일상생활에서 불편감을 줄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