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포진은 보통 40대 이상에서 발생빈도가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지만 20대 이상의 성인부터 발병 확률이 확연하게 높아지며 낮은 확률이지만 아이에게서 발생할 확률도 있습니다.

 


 한포진이 잘 일어나는 부위로는 손과 발이 있으며 포진이 생기면 점점 범위가 퍼지며 넓어지는 양상을 나타냅니다.


 포진이 나타난 부위의 가려움을 참지 못하고 긁어 상처가 나면 세균성 감염이 일어나면서 더욱더 가려움증과 통증이 찾아오기 때문에 갑자기 악화되어 아이에게는 참을 수 없는 고통을 줄 수 있는 질환이 한포진입니다.

 

 

 


 나이에 상관없이 생기는 질환이며, 한포진 치료방법은 어른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 가려움증이나 통증을 참을 수 있기 때문에 치료를 위한 약을 사용하지만 어린이의 경우 가려움증으로 인하여 긁어서 수포가 터지고 상처가 생기면서 그곳에 세균성 감염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이때는 세균성 감염과 함께 한포진 치료방법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한포진의 치료방법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집니다.

 1. 연고. 초기에 알아챈 가벼운 포진의 경우에는 약간의 스테로이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연고를 바르는 것입니다. 어린아이의 경우에도 크게 나쁘게 나타날 영향이 없을 정도의 양이 함유되어 있는 약제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초기일경우에 효과가 있고, 긁어서 세균성 감염이 일어난다면 크게 효과를 볼 수 없는 한포진 치료방법 입니다.

 


 2. 포진의 관리. 크기가 크거나 눈에 띄게 보인다면 수포를 터트리고 시원한 생리식염수에 그 부분을 15분 정도 담궈 깨끗하게 해주는 방법입니다. 수돗물이나 수독용 약제를 사용하면 자극이 가해져 더욱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해주는 치료방법입니다.

 


 포진이 일어난 부분을 생리식염수에 담글 수 없다면 멸균된 거즈에 식염수는 넉넉하게 뿌려 한포진이 일어난 부위를 닦아주고 다시 깨끗한 거즈에 식염수를 뿌려 그 부위에 5~10분 정도를 불려서 닦아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3. 스테로이드제. 초기를 넘어가거나 가려움 등의 고통을 참기 힘들 때 스테로이드제가 든 주사나 약을 처방받아서 복용하는 치료방법으로 증상이 심할 경우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4. 그 외에 자외선 치료가 있으며, 스테로이드 연고를 처방 받았지만 긁어서 상처가 생긴 경우에는 항생제를 같이 사용하거나 세균성 감염을 치료하는 연고를 같이 처방받아서 섞어서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한포진의경우는 비감염성이지만 상처가 생겼을 경우 치료가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에 상처가 생기지 못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어린아이들의 경우에는 가려움을 참지 못하고 긁을 수도 있기 때문에 한포진 치료방법과 함께 가려움증의 경감에도 신경 써야 합니다.

 


 가려움증 경감 방법도 적어 드릴께요.

 한포진 치료방법과 함께 집에서 사용하면 좋은 방법입니다.

 * 차가운 물에 증상이 나타난 부위를 10~20분 정도 담가 냉찜질을 해주시고 깨끗하게 닦아주신 후에 처방받은 연고를 바르거나 보습제를 바르는 것이 방법인데요. 이때 수돗물보다는 생리식염수가 좋습니다.(생리식염수는 약국에서 구입 가능하며 한 두통 사기보다는 넉넉하게 구매하셔서 아이들이 가려워하거나 힘들어할 때 자주(하루 2~4번)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포진이 발생하는 이유는 아직도 명확하게 밝혀진 것이 없습니다. 하지만 피부질환이 있거나 땀이 많이 나는 사람에게서 높은 확률로 나타나며 계절도 여름철에 자주 나타나기 때문에 손발에 다한증이 있으시거나 아토피 질환이 있으신 분들은 주의하셔서 보셔야 초기에 선택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아토피 때문에 간지럽다고 생각하시고 넘기지 마시고 유심히 살피셔서 아이들이 한포진에 걸렸을 때 힘들어하지 않게 초기에 치료하시기 바랍니다. 어른도 마찬가지구요

 


 위에서 알려드린 치료방법을 이용하여도 재발이 잘 발생하는 질환이기 때문에 포진이 발생 하였을 때 초기에 잘 발견하여 가려움증의 완화나 상처로 인한 2차 세균 감염에 주의하신다면 크게 염려하실 필요 없이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걱정하지 마시고 안정을 취하시고 병원을 방문하시길 바랍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간 없애는 방법 원인에 맞추기  (0) 2020.12.31
손목터널증후군 치료법 2가지  (0) 2020.12.29
하지정맥류 증상 7가지  (0) 2020.12.21
모세기관지염 증상 보기  (0) 2020.05.06
RSV 바이러스 증상 보기  (0) 2020.02.06
댓글